규짱의 ITF스토리

ITF태권도에 관한 모든것

ITF태권도/ITF태권도에 대하여

ITF태권도 승급과 승단기준(2022년 검은호랑이해,임인년 새해목표,신년목표)블랙벨트 검은띠까지의 기간,기준

규짱 2022. 1. 1. 05:35

2022년 새해가 되었다.

 

 

언제나 그렇듯 새해에는 새로운 마음으로 새로운 목표를 세우고 그것을 이루고자 계획을 세우곤한다.

모두가 소망하는 것, 이루고자 하는 바가 다르기 때문에 새해에 목표도 모두 다를 것이라 생각한다.

 

새해에는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운동을 배워서 그것을 통해 다이어트, 대회참가, 스트레스 해소 등

본인이 원하는 바를 이루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다.

 

최근 ITF태권도는 유튜브에서 '양감독TV'의 천하제일무술대회 등으로 많이 알려지게 되었고

그 외의 여러 웹툰(갓오브하이스쿨, 한림체육관, 싸움독학 등)에서 많이 등장하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흥미를 갖고 있을것이라 생각한다.

 

운동중에서도 보통 새로운 무도,무술을 시작하기 위해 계획을 세우는 사람들이라면 ITF태권도를 추천하고 싶고 이왕 시작한다면 1단을 취득하는 것을 목표로 해보는 것을 추천하고 싶다.

 

 

 

그래서 오늘은 ITF태권도의 검정띠 취득까지의 기간과 기준을 정리해보았다. 

 

 

틀(품새) 보맞서기
(약속대련)
맞서기(스파링) 발차기
(격파)
체력테스트
(여자의경우 무릎을 바닥에 대고)
10 사주찌르기
사주막기
3보맞서기 1번
3보맞서기 2번
X 앞차부수기(앞차기)
돌려차기
옆차찌르기(옆차기)
주먹쥐고
팔굽혀펴기
50회
9 천지 3보맞서기 1번
3보맞서기 2번
3보맞서기 3번
X 앞차부수기(앞차기)
돌려차기
옆차찌르기(옆차기)
주먹쥐고
팔굽혀펴기
50회
8 단군 3보맞서기 1번
3보맞서기 2번
3보맞서기 3번
3보맞서기 4번
X 뛰어앞차부수기
뛰어돌려차기
뛰어옆차찌르기
주먹쥐고
팔굽혀펴기
50회
7 도산 3보맞서기 5번
3보맞서기 6번
3보맞서기 7번
X 뛰어앞차부수기
뛰어돌려차기
뛰어옆차찌르기
주먹쥐고
팔굽혀펴기
50회
6 원효 3보맞서기 8번
3보맞서기 9번
3보맞서기 10번
2분2라운드 뒤돌아옆차찌르기 주먹쥐고
팔굽혀펴기
50회
 
5 율곡 2보맞서기 1번
2보맞서기 2번
2보맞서기 3번
2보맞서기 4번
2보맞서기 5번
2분2라운드 뛰어돌아옆차찌르기 주먹쥐고
팔굽혀펴기
50회
4 중근 2보맞서기 6번
2보맞서기 7번
2보맞서기 8번
2보맞서기 9번
2보맞서기 10번
2분2라운드 반대돌려차기 주먹쥐고
팔굽혀펴기
50회
3 퇴계 1보맞서기 1번
1보맞서기 2번
1보맞서기 3번
1보맞서기 4번
1보맞서기 5번
1보맞서기 6번
1보맞서기 7번
1보맞서기 8번
1보맞서기 9번
2분2라운드 뛰어반대돌려차기 주먹쥐고
팔굽혀펴기
50회
2 화랑 1보맞서기 10번
1보맞서기 11번
1보맞서기 12번
1보맞서기 13번
1보맞서기 14번
1보맞서기 15번
1보맞서기 16번
1보맞서기 17번
2분2라운드 비틀어차기 주먹쥐고
팔굽혀펴기
50회
1 충무 1보맞서기 10번
1보맞서기 11번
1보맞서기 12번
1보맞서기 13번
1보맞서기 14번
1보맞서기 15번
1보맞서기 16번
1보맞서기 17번
1vs1 2분10라운드
1vs2 1분1라운드
  주먹쥐고
팔굽혀펴기
100회

 



 

ITF태권도의 1단까지의 취득기간부터 말하자면 주5일 수련, 성인기준 1년반 ~ 2년 정도로 보면 된다.

아이들에게는 조금 더 엄격해져서 3년 정도의 수련이 필요하다.

 

하지만 모두가 1년 내내 주5일을 수련할 수 없기 때문에

주2일, 주3일 정도 수련한다고 생각한다면 성인은 3년 이상의 수련기간이 필요하다.

 

 

1단 이후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명칭
1 광개
포은
계백
부사범
2 의암
충장
고당
부사범(1단에서 1년 이상 수련 후 취득가능)
3 삼일
유신
최영
부사범(2단에서 2년 이상 수련 후 취득가능)
4 연개
을지
문무
사범(3단에서 3년 이상 수련 후 취득가능)
5 서산
세종
사범(4단에서 4년 이상 수련 후 취득가능)
6 통일 사범(5단에서 5년 이상 수련 후 취득가능)
7   사현(마스터)
(6단에서 6년 이상 수련 후 취득가능)
8   사현(마스터)
(7단에서 7년 이상 수련 후 취득가능)
9   사성(그랜드마스터)
(8단에서 8년 이상 수련 후 취득가능)

*최중화계 ITF와 오창진계 ITF에서는 2단틀에 '고당' 틀을 가르치지만 창헌류에서는 '주체'틀을 가르쳤다.

 

 

 

 

 

이렇게 ITF태권도의 승급과 승단기준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하지만 승급과 승단기준, 심사내용은 최중화계열, 장웅계열, 오창진계열, 트란콴계열 등

각 계열마다 다르고 심지어 나라마다 지도자마다 조금씩 다르다.   

본인의 경우에는 승단심사때 격파종류를 7가지를 했었고

격파를 실패할때마다 스파링이 1라운드씩 추가, 팔굽혀펴기 10개씩 추가가 되었는데

5번 실패하여 맞서기 15라운드, 팔굽혀펴기 150개를 했다.

 

게다가 일본의 ITF태권도의 경우에는 승단심사때 맞서기가 3분으로 진행되었으며 그 외에도

합기도나 아이키도에서 사용될 것 같은 몇가지 종류의 호신술도 추가된다.

 

이렇게 각 계열마다, 나라마다, 지도자마다 승급,승단심사 내용이 조금씩 다르다 하더라도

오늘 정리한 내용에서 크게 다르지 않으니 ITF태권도를 시작하기 전에 참고자료로 충분히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블로그가 처음이라 필력이 부족하고 시각적으로 읽기 쉽게 하는 작업을 하는 것 등 많이 부족합니다만

댓글에 피드백을 주신다면 적극적으로 배워서 더 발전해 나가고 싶으니 언제든 댓글로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 만약 틀린내용이 있다면 확인하고 수정작업을 할테니 댓글로 부탁드리겠습니다.